살면서 외국은행 송금을 할 일이 있을까 했는데요. 이번에 미국에 있는 친구에게 돈을 보내면서 외국은행 송금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게 된 것 같습니다. 그래서 혹시 해외 은행에 송금하시는 분들을 위해 글을 정리해봤습니다.
1. 외국은행 송금 시 필요한 것
먼저 외국은행 송금할 때 필요한 것은 해외 은행 정보입니다. 그리고 계좌번호(어카운트 넘버)를 알아야 하죠. 은행에는 스위프트 코드(Swift code)라는 것이 부여되어 있는데요. 일단 이 코드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.
2. 외국은행 송금 한도
우리나라는 과거 IMF 시절에 달러가 급격히 유출되면서 외환위기를 겪었었죠. 그때가 1997년이었는데요. 당시 학교에서 뉴스를 접했던 기억이 납니다. 아무튼 그 때 우리나라 정부가 한 번 크게 당한적이 있어서 달러가 해외로 나가는 것에 굉장히 민감하죠.
그래서 IMF 이후 우리나라에는 외국환거래법(구 외국환관리법)이라는 것이 생겼는데요. 이 법에 따르면 무분별하게 해외로 송금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외국은행 송금할 때 한도가 있죠.
3. 외국은행 송금 관련법
일단 기본적으로 건당 송금액 5천달러가 넘어가면 여러가지 조건이 붙습니다. 5천달러 이상 송금 시 거래외국환은행을 지정해야 하고, 연간 누적 1만불 넘게 송금하면 국세청으로 통보가 가죠.
한도가 넘는다고 외국은행으로 돈을 보낼 수 없다는 얘기는 아닙니다. 단지, 불법 자금이거나 세금 탈루 목적이 있는지 검사 대상이 된다는 것이죠. 외국환거래법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 잘 설명되어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외국은행 송금에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.
한국 미국 송금 방법 정리 (미국 주택 자금, 유학 자금 등)
4. 결론
오늘은 외국은행 송금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. 저도 해외송금을 많이 하다보니 이런저런 잡지식만 늘어나고 있는데요. 만약 송금액수가 크고 증여세 같은 세금 문제가 걸린다면 꼭 세무사 상담을 한 번 받아보시길 바랍니다. 물론 건당 5천달러 이하 또는 연간 누적 1만 달러 이하 송금은 크게 걱정할 필요 없이 진행하면 됩니다.
아, 그리고 마지막으로 송금할 때 수수료 비교는 꼭 해보시길 바래요. 생각보다 은행에서 송금하면 수수료가 많이 나가기 때문인데요. 인터넷에서 와이어바알리나 트랜스퍼와이즈 같은 송금업체에 대해 찾아보시고 공부한 후 송금하시길 바랍니다.
'재테크 투자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주식 사는법 (0) | 2020.10.10 |
---|---|
나무 증권hts 다운로드 및 설치 (0) | 2020.10.10 |
미국 대선 토론 감상평 (0) | 2020.10.02 |
미래에셋대우 hts 다운로드 (0) | 2020.10.01 |
대신증권 사이보스 다운로드 (0) | 2020.09.30 |
댓글